본문 바로가기

전기 마당/전력공학5

전력공학 2장 - 정전용량 충전전류 충전용량 이번 포스팅은 전력공학 2장 - 충전전류 충전용량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정전용량은 선로정수 C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전력계통의 콘덴서와 관련이 있는 정수입니다. 목차 1. 정전용량 2. 정전용량 종류 3. 충전전류 4. 충전용량 정전용량 : 정전용량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C라는 선로정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우리가 알고 있는 역률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콘덴서와 관련이 높습니다. 산업계에서는 Capacitor라고도 부르는데 무효전력을 감소하게 도움을 줌으로써 역률을 개선하여 전력손실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콘덴서는 도체사이에 절연물질이 있고 해당 절연물로 인해 정전용량이 발생을 하게 됩니다. 이런 현상이 선로와 대지사이에서도 발생을 하게 됩니다. 선로와 대지사이에는 .. 2023. 1. 28.
전력공학 2장 - 저항 인덕턴스 정전용량 이번 포스티은 전력공학 2장 - 저항 인덕턴스 정전용량 대해서 제가 공부한 내용을 기반으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류를 방해하는 저항은 고유저항, 길이, 면적 요소에 따라 결정이 된다고 합니다. 이와 더불어 인덕터스 정전용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저항 2. 인덕턴스 3. 정전용량 저항 : 저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항은 전류를 방해하는 요소로 V=IR 이라는 수식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항이 커지게 되면 전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항의 성질과 합성저항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조 하시면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회로이론 1장 - 저항의 성질과 합성저항 이번 포스팅은 회로이론 1장 - 저항의 성질과 합성저항 대해서 제가 개인적으로 공부한.. 2023. 1. 19.
전력공학 1장 - 전선의 이도 및 애자 이번 포스팅은 전력공학 1장 - 전선의 이도 및 애자 대해서 제가 검토 및 공부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전선의 이도는 전선이 처진 정도를 나타내며, 애자는 전선을 지지물에 고정하는 역할과 동시에 절연체의 역할하는 요소입니다. 목차 1. 전선의 이도 2. 애자 전선의 이도 : 먼저 전선의 이도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신주를 보시면 전선이 직선으로 팽팽하게 설치가 되어 있는 게 아니고 아래로 약간 처진 상태로 설치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처진 상태로 전선을 설치한 이유는 너무 팽팽하게 설치를 하게 되는 경우에 전선에 작용하는 장력으로 인해 전선이 끊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전선의 처진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전선의 이도라고 합니다. 수치적으로 표현할.. 2023. 1. 7.
전력공학 2장 - 선로 정수 등가 선간거리 및 등가 반지름 이번 포스팅은 전력공학 2장 - 선로 정수 및 코로나 대한 내용으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선로에는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선로가 있는데 해당 선로에 맞게 구성하는 요소가 다르다고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선로 거리에 따른 선로 정수 2. 등가 선간거리 3. 복도체 등가 반지름, 스페이서 선로 거리에 따른 선로 정수 : 선로 거리에 따른 선로 정수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선로에는 단거리 선로, 중거리 선로, 장거리 선로로 크게 3개로 나누어서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각 선로에 따라 선로 정수가 다르게 적용이 됩니다. 장거리 선로의 경우에는 저항과 인덕턴스로 구성되고 중거리에는 저항, 인덕턴스, 캐패시턴스로 이뤄집니다. 그리고 가장 긴 거리인 장거리 선.. 2023. 1. 5.
전력공학 1장 - 전선의 조건 및 진동 도약 (feat. ACSR) 이번 포스팅은 전력공학 1장 - 전선의 조건 및 진동 도약 대해서 제가 공부한 내용을 기반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기가 만들어지고 해당 전기가 배전이 되는 과정에서 꼭 필요한 전선의 조건에 대해서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발전 송전 배전 2. 전선의 조건 3. 전선의 종류 4. ACSR (강심 알루미늄 연선) 5. 전선의 진동과 도약 발전 송전 배전 : 전력공학에서 다루는 부분은 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들면 해당 전기를 전기가 필요한 곳에 보내고 받은 전기를 필요한 곳에 효율적으로 나눠주는 과정입니다. 이를 발전, 송전, 배전이라고 합니다. 발전 : 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드는 과정 송전 : 전기를 전기가 필요한 곳에 보내는 과정 배전 : 받은 전기를 필요한 곳에 효율적으로 나눠주는 과정.. 2022. 1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