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덕턴스3

전력공학 2장 - 저항 인덕턴스 정전용량 이번 포스티은 전력공학 2장 - 저항 인덕턴스 정전용량 대해서 제가 공부한 내용을 기반으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류를 방해하는 저항은 고유저항, 길이, 면적 요소에 따라 결정이 된다고 합니다. 이와 더불어 인덕터스 정전용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저항 2. 인덕턴스 3. 정전용량 저항 : 저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항은 전류를 방해하는 요소로 V=IR 이라는 수식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항이 커지게 되면 전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항의 성질과 합성저항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조 하시면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회로이론 1장 - 저항의 성질과 합성저항 이번 포스팅은 회로이론 1장 - 저항의 성질과 합성저항 대해서 제가 개인적으로 공부한.. 2023. 1. 19.
전기기학 11장 - 인덕턴스 상호인덕턴스와 결합계수, 동축케이블의 인덕턴스 안녕하세요 인덕턴스 내용 중에 상호인덕턴스와 결합계수, 동축 케이블의 인덕턴스에 대해서 포스팅을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을 기반으로 설명 드리며,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가능한 수식도 같이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상호인덕턴스 : 일단 상호인덕턴스라는 개념부터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상호라는 말은 하나가 아닌 2개의 코일 상호 간의 인덕턴스라는 것을 인지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이전 포스팅의 경우에는 자기인덕턴스(Self-Inductance) 즉, 하나의 인덕턴스를 나타내는 개념이였습니다. ▼ 해당 포스팅은 아래와 같이 첨부하였습니다. 먼저 공부하고 오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전자기학 11장 - 인덕턴스 개념, 단위 및 솔레노이드, 유기 기전력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인덕턴스의 개.. 2021. 5. 6.
전자기학 11장 - 인덕턴스 개념, 단위 및 솔레노이드, 유기 기전력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인덕턴스의 개념, 단위 및 솔레노이드, 유기 기전력에 대해서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을 기반으로 설명드리며,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가능한 수식도 같이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인덕턴스 (L) : 인덕턴스는 회로이론에서 기본이 되는 소자 R, L, C 중에 하나의 소자입니다. 전기자기학에서 원리를 공부하고 회로에서는 이론적인 내용을 활용해서 만든 소자의 기능 위주로 다루게 됩니다. 저항 R 과 정전용량 C는 기 포스팅에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그럼 이제는 나머지 하나인 인덕턴스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도체 또는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면 자속이 발생함을 설명 드렸습니다. 이때 전류를 많이 흘려주면 발생되는 자속도 많을 것입니다. 즉 자속과 전류는 서로 .. 2021. 3. 15.

// 내부링크를 현재창으로 열기 // Open internal links in same t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