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어공학 블록선도 이해와 활용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제어공학 블록선도 이해와 활용 대해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제어공학에서 블록선도는 블록다이어그램이라고도 말하며,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이해하고 해석이 용이하게 표현해 주는 그림입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나 유지 보수를 하시는 분들의 입장에서 어떤 부분을 체크를 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도와주는 유용한 수단입니다. 

그럼 제어공학 블록선도 이해와 활용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록선도 구성 요소

제어공학에서 블록선도(Block Diagram)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입출력, 전달함수, 화살표 등으로 표현하여 시스템의 이해와 해석이 용이하도록 표현한 그림입니다.

블록선도는 시스템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블록선도는 주요 구성 요소로는 전달요소, 화살표, 가산점, 인출점이 있습니다. 

블록선도 구성 상세 사항
전달요소 ✔ 입력을 받아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요소로, 일반적으로 전달함수 G(s)로 표현
✔ 전달함수는 시스템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관계 및 시스템의 동특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
화살표 ✔  신호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는 요소
✔  시스템 내에서 신호가 어떻게 전달되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역할
가산점 ✔  여러 신호가 합산되거나 차감되는 지점으로, 시스템 내에서 신호의 조합을 표현
인출점 ✔  신호가 분기되어 다른 경로로 전달되는 지점으로, 피드백 제어계 등에서 사용

 

제어공학-블록선도-전달요소-가산점-인출점
제어공학-블록선도-전달요소-가산점-인출점

 

▶ Wet Dry Contact 개념 비교 차이점 

블록선도 적용 예시

블록선도는 다양한 시스템에서 활용되며, 특히 전기회로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저항(R), 인덕터(L), 커패시터(C)와 같은 기본 전기 소자들의 블록선도 표현을 통해 시스템의 동작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R 회로

저항 R에 걸리는 전압 v(t)는 전류 i(t)와 저항 R의 곱으로 표현됩니다.

R회로-공식
R회로-공식

 

이를 라플라스 변환하면 V(s) = R * I(s)로 나타낼 수 있으며, 블록선도로 표현하면 입력 I(s)에 전달함수 R을 적용하여 출력 V(s)를 얻는 형태가 됩니다.

L 회로

인덕터 L에 걸리는 전압 v(t)는 전류 i(t)의 시간에 따른 변화율과 인덕턴스 L의 곱으로 표현됩니다.

L회로-공식
L회로-공식

이를 라플라스 변환하면 V(s) = L * s * I(s)로 나타낼 수 있으며, 블록선도로 표현하면 입력 I(s)에 전달함수 Ls를 적용하여 출력 V(s)를 얻는 형태가 됩니다.

C 회로

커패시터 C에 걸리는 전압 v(t)는 전류 i(t)의 적분값과 커패시턴스 C의 역수의 곱으로 표현됩니다.

C회로-공식
C회로-공식

 

이를 라플라스 변환하면 V(s) = (1/(C * s)) * I(s)로 나타낼 수 있으며, 블록선도로 표현하면 입력 I(s)에 전달함수 1/(Cs)를 적용하여 출력 V(s)를 얻는 형태가 됩니다.

▶MODBUS TCP/IP IEC 61850 MODBUS 프로토콜 비교 정리 

제어공학 블록선도 활용

제어공학에서 블록선도는 다양한 시스템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히 자동차, 로봇, 항공우주 시스템과 같은 자동 제어 시스템에서 블록선도를 활용하여 신호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고 제어기의 설계를 최적화합니다.

전기회로에서의 블록선도

전기회로에서는 블록선도를 활용하여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 등 다양한 요소들의 동작을 표현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C회로의 블록선도는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피드백 제어 시스템

블록선도는 피드백 제어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PID 제어기를 적용한 시스템에서는 입력 신호와 피드백 신호를 블록선도로 표현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분석하고 튜닝할 수 있습니다.

▶ 전기세 요금 확인 및 아끼는 방법

관련 글

결론

지금까지 제어공학 블록선도 이해와 활용 그리고 활용 사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블록선도는 시스템의 구조와 신호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도구로써 전달함수, 가산점, 인출점 등을 활용하여 복잡한 시스템을 분석하고 설계할 수 있습니다.  

이런 블록선도는 전기회로, 피드백 제어 시스템, 로봇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제어공학을 공부하는 입장에서 가장 기초적인 블록선도에 대해서 공부 및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해당 내용은 제 나름대로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기에 오류가 있을 수 있는 점 참조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