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MOF 정의 구조 회로 구성 대해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MOF란?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MOF, Metering Out Fit)는 3상 4선식 특고압 선로에서 사용 전력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입니다.
영어로는 ‘Metering Out Fit’ 라고 하면 여기에서 ‘Metering’ 는 계량이라는 의미이고, ‘Out Fit’ 은 어떠한 목적으로 케이스에 넣은 세트를 의미합니다.
📌 MOF란
✔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 영어로는 ‘Metering Out Fit’
✔ ‘Metering’ 는 계량이라는 의미
✔ ‘Out Fit’ 은 어떠한 목적으로 케이스에 넣은 세트를 의미
주로 한전 계량기의 계측을 위해 사용되며, 변류기(CT)와 계기용 변압기(PT)를 하나의 외함에 결선하여 구성합니다.
이를 통해 전력수급용 전력량계, 무효 전력량계, 최대 수요 전력량계와 조합하여 사용됩니다.

1) MOF의 주요 기능
MOF는 주회로의 고전압과 대전류를 사용 목적에 맞게 저전압(110V)과 소전류(5A)로 변성합니다.
이를 통해 계량기의 안전한 계측이 가능해집니다.
용도에 따라 계기용 변류기와 계기용 변압기로 분류되며, 절연 형태에 따라 건식, 유입식, 몰드식으로 구분됩니다.
최근에는 22.9kV급에서 몰드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2) MOF의 다른 명칭
계량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MOF(Metering Out Fit)라고 하며, PT와 CT가 함께 구성되어 있어 PCT라고도 불립니다.
또한, 계기용 변성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라고도 합니다.
계기용 변성기 MOF 의 구조
1) MOF 의 내부 구성 요소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MOF의 내부에는 변류기 (CT)와 계기용 변압기(PT)가 함께 내장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은 고전압과 대전류를 저전압과 소전류로 변환하여 계량기의 안전한 계측을 가능하게 합니다.
2) 절연 방식에 따른 MOF의 종류
MOF는 절연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 됩니다.
✔ 몰드형 (Mold Type) :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로 절연되어 있으며 주로 옥내 설치에 적합
✔ 유입형 (Oil-Immersed Type): 절연유를 사용하여 절연하며, 옥외 설치에 적합
참고로 최근에는 22.9kV 급에서 방재에 유리한 몰드형이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유입형의 경우에는 절연유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3) MOF의 외함과 부속 장치
그리고 MOF의 외함과 부속 장치 대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MOF의 외함은 내부 구성 요소를 보호하며,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또한, 흡습 호흡기가 장착되어 있어 내부의 습기를 조절하며, 내부에 실리카겔이 포함되어 있어 습기를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실리카겔의 변색 여부를 확인하여 교체해야 합니다.
계기용 변성기 MOF 회로도
1) MOF의 회로 구성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MOF의 회로도는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됩니다.
📌 MOF의 회로 구성 요소
✔ 1차 측 단자: P1, P2, P3
✔ 2차 측 단자: S1, S2, S3
✔ 중성점 단자: P0
각 상의 전류는 1차 측 단자(P1, P2, P3)를 통해 입력되며, 변류기(CT)를 거쳐 2차 측 단자(S1, S2, S3)로 전달됩니다.
변압기(PT)는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여 계량기에 안전하게 전압을 공급합니다.

2) 점검 시 주의 사항
MOF를 점검할 때는 2차측 단자 (S1, S2, S3)는 반드시 단락시켜야 합니다.
만약 개방 상태로 두면, 큰 부하 전류가 여자 전류로 변하여 2차측 권선에 고전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권선의 절연이 파괴되어 손상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1차 측 단자(P1, P2, P3)는 점검 시 개방해야 합니다.
만약 단락 시키면 단락 사고가 발생하여 장비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MOF 점검 시 주의 사항
✔ 2차측 단자 (S1, S2, S3)는 반드시 단락
✔ 1차 측 단자(P1, P2, P3)는 점검 시 개방
▶ 전력공학 이도 애자 배전방식 (feat. 이도 구하는 공식)
Q&A 및 FAQ
질문 1) MOF의 PT비와 CT비는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1 : MOF의 전압비(PT비)는 일반적으로 120으로 구정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22,900V의 선간 전압을 대지 전압으로 변환하면 13,200V가 되며, 이를 2차 측의 110V로 변환하므로 PT비는 13,200V/110V = 120 가 됩니다.
CT비는 1차 측 전류에 따라 달라지며, MOF의 명판에 표시된 값을 참고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차 측 전류가 30A이고 2차 측 전류가 5A인 경우 CT비는 30/5=6이 되게 됩니다.
MOF비는 PT비와 CT비의 곱으로 계싼되며, 이경우 120 x 6 = 720이 됩니다.
질문 2) MOF의 절연유 점검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답변 2 : MOF의 절연유를 점검할 때는 절연유가 누설되는 곳이 없는 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흡습 호흡기 안의 실리카겔 상태를 점검하여 변색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 시 교체 해야 합니다.
이러한 점검을 통해 MOF의 절연 성능을 유지하고, 안전한 운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관련 글
결론
이상입니다. 지금까지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MOF 정의 구조 회로 구성 대해서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의 사용량, 전력량을 정확하기 측정하기 위해서 꼭 설치가 필요 하며 새로 한전과 같이 전기를 공급하는 곳에서 전기를 공급 받을 때 꼭 설치해야 하는 기기 중 하나입니다.
송전을 해주는 곳과 수전을 받는 곳 모두 설치하는 것에 보통 일반적인데, 저의 경우에는 송전 쪽에 대한 경험은 없어서, 이 부분은 추가적으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제가 정리한 내용이 전기를 공부하고 검토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하네요.
참고로 해당 글은 제가 개인적으로 공부하고 분석한 글이기에 오류가 있을 수 있는 점 참조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