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 마당/전기자기학34

전자기학 12장 - 전자속도, 포인팅 벡터 안녕하세요 전자기학 12장 내용으로 전자속도 및 포인팅 벡터에 대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을 기반으로 설명 드리며,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가능한 수식도 같이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전파속도 : 일단 전파속도에 대해서 먼저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파속도라는 것은 기 포스팅한 전자파가 이동하는 속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호는 v를 쓰고 단위는 [m/s]입니다. ▼ 전자파에 대해서 먼저 공부하고 안 오셨다면 아래 포스팅 참조하시면 됩니다. 전자기학 12장 - 전자파, 고유 임피던스 안녕하세요 전자기학 12장 내용으로 전자파, 고유 임피던스 관련해서 포스팅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을 기반으로 설명 드리며,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가능한 수식도 같이 dfir.. 2021. 5. 18.
전자기학 12장 - 전자파, 고유 임피던스 안녕하세요 전자기학 12장 내용으로 전자파, 고유 임피던스 관련해서 포스팅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을 기반으로 설명 드리며,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가능한 수식도 같이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전자파 : 전자파에 대해서 설명 드리기 전에 먼저 전자장에 대해서 먼저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자장은 전계와 자계가 공존하는 공간을 전자장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전자장 내에서 전계와 자계가 혼합되어 있는 파동을 '전자파'라고 합니다. 전자파의 특징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전계와 자계는 서로 수직 전계(E)와 자계(H)는 서로 90˚관계입니다. 2) 전계와 자계가 동상입니다. 여기에서 동상의 의미는 위상이 같다는 뜻으로 전계와 자계가 서로 크기는 다를지라도 같은 변화패턴을 가진다는 의.. 2021. 5. 13.
전기기학 11장 - 인덕턴스 상호인덕턴스와 결합계수, 동축케이블의 인덕턴스 안녕하세요 인덕턴스 내용 중에 상호인덕턴스와 결합계수, 동축 케이블의 인덕턴스에 대해서 포스팅을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을 기반으로 설명 드리며,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가능한 수식도 같이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상호인덕턴스 : 일단 상호인덕턴스라는 개념부터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상호라는 말은 하나가 아닌 2개의 코일 상호 간의 인덕턴스라는 것을 인지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이전 포스팅의 경우에는 자기인덕턴스(Self-Inductance) 즉, 하나의 인덕턴스를 나타내는 개념이였습니다. ▼ 해당 포스팅은 아래와 같이 첨부하였습니다. 먼저 공부하고 오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전자기학 11장 - 인덕턴스 개념, 단위 및 솔레노이드, 유기 기전력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인덕턴스의 개.. 2021. 5. 6.
전자기학 11장 - 인덕턴스 개념, 단위 및 솔레노이드, 유기 기전력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인덕턴스의 개념, 단위 및 솔레노이드, 유기 기전력에 대해서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을 기반으로 설명드리며,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가능한 수식도 같이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인덕턴스 (L) : 인덕턴스는 회로이론에서 기본이 되는 소자 R, L, C 중에 하나의 소자입니다. 전기자기학에서 원리를 공부하고 회로에서는 이론적인 내용을 활용해서 만든 소자의 기능 위주로 다루게 됩니다. 저항 R 과 정전용량 C는 기 포스팅에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그럼 이제는 나머지 하나인 인덕턴스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도체 또는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면 자속이 발생함을 설명 드렸습니다. 이때 전류를 많이 흘려주면 발생되는 자속도 많을 것입니다. 즉 자속과 전류는 서로 .. 2021. 3. 15.
전기자기학 10장 - 도체가 움직여 발생하는 유기 기전력, 표피효과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도체가 움직여 발생하는 유기 기전력 그리고 그와 관련된 플레밍의 오른속 법칙, 침투길이에 반비례하는 표피효과까지 제가 공부한 내용을 기반으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도체가 움직여 발생하는 유기 기전력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 도체의 움직임을 통해 자속의 변화가 발생해서 이를 방해하는 유기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즉 어떤 도체를 꼭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일정한 속도 v로 움직이게 하면 그 도체에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도체를 회전은 하지 않지만 그래도 계속적으로 유기기전력을 뽑아내는데 유용하게 하려면 도체가 회전하는게 최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B[Wb/m2]인 자계내에서 길이가 l[m]인 도체를 v[m/s]의 속도로 이동시킬 때 도체에 유기되는 전.. 2021. 3. 8.

// 내부링크를 현재창으로 열기 // Open internal links in same t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