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기학 4장 - 유전체에 대해서 알아보자 + 유전율 + 비유전율
안녕하세요, Davey입니다. 오늘 다룰 내용은 지난번에 다룬 도체계의 내용과는 다르게, 유전체에 대해서 나름대로 정리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포스팅 한 내용 내용은, 진공 중 또는 공기 중에서 다루는 것이라는 특징이 있었습니다. 간혹 진공, 공기 두 개를 혼용해서 사용하는데, 진공과 공기는 동일하게 취급하는 걸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즉, 특별히 별다른 언급이 없으면, 공기 = 진공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 유전율 : 이번에 공부할 부분은 진공(공기)이 아닌 상황에서 전계나 전위 등을 어떻게 구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즉, 유전체를 가지고 설명드리려고 하는데, 유전체란, 진공이 아닌 그 물질을 유전체라고 이해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유전체 하면 이전에 공부한 내용 중..
2021. 1. 17.
전기자기학 3장 - 도체계의 이해 + 도체계의 구도체 전위, 정전용량 + 도체계의 동심구 전위
안녕하세요, 오늘 다룰 내용은 전기력선의 특징, 구도체의 전위 그리고 동심구(중공도체)의 전위도체계의 이해 + 도체계의 구도체 전위 + 도체계의 동심구 전위에 대해서에 대해서 나름대로 정리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도체계의 전위 :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것은, 전하가 혼자 있고, 임의의 점에 미치는 전위, 전계에 대한 내용이였다면, 이번에 설명 드릴 도체계는 여러가지 도체가 각각의 전계와 전위를 가지면서 도체 간에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다루게 됩니다. ▼ 즉, ‘도체계' 라는 말은 여러가지 도체가 존재하는 공간으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에서 “계” 는 어느 공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앞에서도, 다시 한 번 설명 드린 대로, 전하가 하나가 있고, 어떤 임의의 점에 미..
2021. 1. 14.
전기자기학 2장 - 전계를 구하는 공식 + 구도체 전계 세기 + 무한정 직선도선의 전계 세기 + 무한평면의 전계세기
안녕하세요, 오늘 다룰 내용은 지난 번에 다룬 가우스 적분형, 미분형, 뿌아송의 방정식, 라플라시안 방정식에 이어, 전계를 구하는 공식, 즉, 구도체 전계 세기, 무한정 직선도선의 전계 세기, 무한평면(or 무한 평판)의 전계 세기에 대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구도체의 전계 세기 ▼ 구도체에 대한 전계의 세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점을 확대해보면 구와 같은 형태이기에, 구도체의 전계의 세기는 점전하의 전계의 세기와 같습니다. 즉, 아래와 같은 식을 도출 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차이점이라면, 구도체는 내부와 외부가 나눠져 있습니다. 구도체의 내부에는 전하가 없고, 표면에 모여있기 때문에, 전계의 세기는 0 이 입니다. 보기 쉽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구도체 내부의..
2021. 1. 6.
전기자기학 2장 - 가우스 적분형 + 미분형 + 푸아송의 방정식 + 라플라스 방정식
안녕하세요, 오늘 다룰 내용은 지난 번에 다룬 전기력선, 전속, 전속밀도 그리고 전하밀도에 이어, 가우스 적분형, 미분형, 뿌아송의 방정식, 라플라시안 방정식에 대해서 나름대로 정리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가우스 법칙 적분형 : 일단 가우스 법칙 적분형을 설명 하기 전에, 전기장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 드리고 가겠습니다. 전기장이란, 원천 전하가 주변에 영향력을 미치는 공간입니다. ▼ 이걸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리고 이 하늘색으로 표현한 선을 "전기선속" 이라고 합니다. - 여기에서 가우스 법칙은, 곡면을 통과하는 전기선속의 양에 대해 설명하는 공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가우스 법칙의 적분형을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어디서 많이 본 공식 같지 않나요? 제가 이전..
2021. 1. 5.